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4기
- 백준
- 다익스트라
- c#
- BFS
- 크래프톤정글
- 오블완
- 크래프톤 정글
- 전쟁-전투
- 연결리스트
- 크래프톤정글4기
- 티스토리챌린지
- KRAFTON JUNGLE
- 이벤트 함수 실행 순서
- anonymous page
- C
- 알고리즘수업-너비우선탐색2
- 알고리즘
- project3
- kraftonjungle
- 유니티
- pintos
- 네트워크
- 크래프톤 정글 4기
- TiL
- User Stack
- 파이썬
- Unity
- 핀토스
- 추상클래스와인터페이스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74)
말감로그
Unity 최적화 방법 중 UI 최적화도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특히 Canvas Rebuild, 드로우콜이 핵심 최적화 포인트이다. 1. Canvas Rebuild 최소화 (CPU 성능 최적화)Unity UI 성능 저하의 주범은 Canvas Rebuild 이다.UI의 위치, 크기, 텍스트, 색상 등이 바뀔 때마다 유니티는 UI를 다시 그리기 위해 Rebuild 과정을 실행한다.이 과정은 부모-자식 구조를 따라 재귀적으로 연산되며, 자식 수가 많거나 Layout 요소가 복잡할수록 연산량이 급격히 증가한다. 최적화 방법- Canas 분리 : 자주 바뀌는 UI는 별도의 Nested Canvas로 분리- Layout 요소 최소화 : ContentSizeFitter, VerticalLayoutGroup 등은..

보간법(Interpolation)보간법은 주어진 두 개 이상의 점 사이를 연결해서, 그 사이의 값을 수학적으로 예측하는 방법이다. 반드시 알고 있는 점 사이에서만 값을 추정 가능하고,단순히 직선으로 연결할 수도 있고(선형 보간), 곡선을 이용해 더 부드럽게 연결할 수도 있음(곡선 보간) ex) 2초일 때의 속도와 3초일 때의 속도 데이터가 있다 할 때, 그 사이 값인 2.5초의 속도를 추론하는 것 선형 보간법(Linear Interpolation)선형 보간법은 두 점을 직선으로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 있는 값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두 값 사이의 중간 값을 수학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이지 무조건 자연스러움을 보장하는 건 아니다."자연스럽게"는 결과물에 따라 얻어지는 효과지, 보간법 그 자체의 정의는 아니다. ..
가비지 컬렉터의 동작 원리Mark and Sweep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동작한다. 1. Mark : GC는 루트 오브젝트로부터 시작하여 모든 접근 가능한 객체들을 마킹한다.2. Sweep : 마킹되지 않은 객체들을 힙에서 제거하여 메모리를 회수한다.3. Compaction : 남아있는 객체들을 힙의 시작 부분으로 이동시켜 메모리 단편화를 줄인다. .Net Framework GC에서는 세대별 가비지 컬렉션(Generation Garbage Collection) 의 기법을 사용한다. 가비지 컬렉션은 세대 기반으로 동작한다. 세대는 객체의 생존기간에 따라 나누어지며, GC는 세대별로 다르게 동작하여 효율성을 높인다. C#의 GC는 0,1,2세대로 구분된다. 0 세대새로 생성된 객체들, 마킹 빈도가 매우 잦다..

Garbage Collection(GC)가비지 컬렉션은 힙 영역에서 동적으로 할당했던 메모리 중 필요 없게 된 메모리를 주기적으로 제거하는 프로세스이다. 개발자 입장에서 메모리 관리, 누수 문제에 대해 관리하지 않아도 되어 오롯이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하지만, 메모리가 언제 해제되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어 제어하기 힘들며, 가비지 컬렉션이 동작하는 동안에는 다른 동작을 멈추기 때문에 오버헤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 Stop The World(*오버헤드 :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데 드는 간접적인 시간, 메모리 등 자원)가비지 컬렉션 대상객체에 레퍼런스가 있다면 Reachable로 구분되고, 객체에 유효한 레퍼런스가 없다면 Unreachable로 구분해버리고 수거해버린다. 1.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