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네트워크
- KRAFTON JUNGLE
- pintos
- 크래프톤정글4기
- C
- 4기
- kraftonjungle
- project3
- BFS
- 크래프톤 정글 4기
- 백준
- Unity
- 크래프톤 정글
- 유니티
- 파이썬
- 티스토리챌린지
- anonymous page
- User Stack
- 연결리스트
- 알고리즘
- 추상클래스와인터페이스
- 이벤트 함수 실행 순서
- 오블완
- 다익스트라
- 전쟁-전투
- TiL
- 핀토스
- 크래프톤정글
- c#
- 알고리즘수업-너비우선탐색2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66)
말감로그
오늘은 건강상의 이슈로.. 공부를 하지 못하였습니다. 저녁 쯤엔 좀 괜찮아져서 어제 공부했던 BFS 3문제라도 풀었다.그리구 올림픽 때문에 공부에 집중을 하지 못하고 있슴...대한민국 화이팅..ㅜㅜ알고리즘수업- 너비우선탐색2 이 문제는 어제 풀었던 알고리즘수업 - 너비우선탐색1 문제와 똑같다. 다른 점은 인접 정점은 내림차순으로 방문한다는 점밖에 없다. 그래서 sort(reverse=True) 를 사용하여 graph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해주었다.import sysfrom collections import dequeinput = sys.stdin.readlineN,M,R = map(int,input().split())graph = [[] for _ in range(N+1)]visited_bfs = [0] *..
거의 2-3주 동안 약속이 많았어서 제대로 놀아버렸다.. 갑자기 친해진 사람들과 매일 같이 만나서 놀다보니 공부는 뒷전이 되어버렸습니다.. 하하 그래도 코드트리는 매일(?) 조금씩 풀었지만 너무 나태해져버린 나를 발견하곤 급하게 공부 다시 시작이다!!!!! (이러고 또 놀면 그냥 사람 아님 제발 공부 좀 하자 ㅠㅠ ) 확실히 코드트리를 풀다 보니 배열에 대한 이해가 조금씩 채워지고 있다. 그리고 문제 푸는 재미가 조금 들려버렸다. 그래서 이젠 다시 백준으로 돌아가 알고리즘 복습을 하며 잔디를 심어나갈 생각이다. 오늘은 BFS/DFS 학습을 하였다. 내 블로그에 정리해놨던 이론을 한번 쭉 읽어보고 풀었었던 알고리즘 문제들을 다시 풀어보았다. 바이러스, DFS and BFS, 단지번호 붙이기, 유기농..
싱글톤 패턴싱글톤 패턴은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해당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언제나 하나만 존재하도록 보장(유일성)하는 패턴입니다. 이 패턴은 주로 하나의 인스턴스만 필요한 객체에 적용된다.외부에서 생성자를 이용한 객체 생성을 막아 전역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정적 메서드를 통해 해당 인스턴스에 접근하고 사용한다. 모든 스크립트가 써야 하는 변수나 기능을 관장하는 스크립트가 있다면, 접근의 편의와 메모리의 할당을 줄이기 위해 싱글톤 패턴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게임 매니저나 리소스 관리자 등이 여기에 속한다. 단점 - 전역변수가 가지는 모든 단점을 그대로 갖게 된다. 전역 변수는 가장 마지막에 검색되기 때문에 조금 느릴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조금 힘들어질 수 있다. using UnityEngine;p..
코드트리Q. 실수 a / b의 값을 소수점 21번째 자리에서 내림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 -> format을 이용해서 출력했지만 틀렸습니다가 떠서 다시 문제를 확인해보니 Hint에 "20번째 자리까지 format을 이용하여 한 번에 출력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가 적혀있었다.... 그래서 어떻게 푸는건데??!?!!!? 모르겠어서 결국 해설을 봐버렸다. a / b에서 소수점을 수학적으로 구하는 방법은, a를 b로 나눈 나머지에 10을 곱한 값을 b로 나눴을 때의 몫을 순서대로 적는 것을 계속해서 반복하면 된다.a,b = map(int,input().split())# 정수 부분을 먼저 출력한다.print(f"{a//b}.", end="")#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시작으로 소수점 자리를 하나..

유니티에서 제공하는 이벤트 함수가 생성부터 종료까지 어떤 순서로 실행되는지 플로우 차트로 표현한 것이다. Initialization 초기화 Awake씬이 로드된 이후 모든 이벤트 함수를 통틀어 가장 처음에 호출되는 함수이다.씬의 모든 게임 오브젝트가 초기화된 후 스크립트 컴포넌트의 인스턴스가 생성(인스턴스화)되면 Awake 함수가 호출된다.컴포넌트가 비활성화(Disable) 이어도 호출된다. 이후 씬이 종료될 때까지는 다시는 호출되지 않는다.OnEnable씬이 로드된 후 게임 오브젝트 + 스크립트 컴포넌트가 활성화(Enable) 될 때마다 호출되는 함수이다.따라서 씬이 로드될 때 이미 Enable이라면 Awake 직후에 바로 호출되고, 씬이 로드되는 순간에 컴포넌트가 Disable이면 OnEnable은..

오늘은 04 반복분 ~ 05 단순 반복문 while문까지 학습하였다. 기초를 탄탄히 잡기 위해 가자고 했지만 생각보다 단순 기초 문제들이 많아서 시간이 좀 걸리고 지루해진다.. 쩝.. 그래도 끝까지 해내기..!! 삼항연산자a = v1 if 조건 else v2난 아직도 삼항연산자로 표현하는 법이 익숙치 않다... pass 특정 조건시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의미 a = int(input())if a > 15: print("A")elif a >= 10: passelse: print("B")print("Done") 유니티 이벤트 함수의 실행 순서Awake모든 이벤트 함수를 통틀어 가장 처음에 호출되는 함수이다.씬의 모든 게임 오브젝트가 초기화된 후 스크립트 컴포넌트의 인스턴스가 생성(인스..

정글이 끝나고 너무 나태해진 나를 다시 살리고자 알고리즘 공부와 CS 공부를 틈틈히 하기로 계획했다. 평일엔 되도록 빼먹지 않고 공부를 하고 그걸 토대로 TIL을 작성하면서 한번 더 복습을 할 계획이다.알고리즘 지식이 백지화되어버린 상태라 코드 트리 실력 진단을 토대로 기초부터 다시 쌓아나갈 것이다. 코드트리가 개념부터 관련된 문제까지 같이 제공해주니 좋은 것 같다.그리고 틈틈히 내가 이전에 만들어놨던 2D 플랫포머 게임을 최적화시키고 있다. 오늘은 01 출력 , 02 입출력 , 03 연산자까지 학습하였다. 기초적인 부분이지만 기초부터 다시 다져가는 것도 좋을 것 같아 꼼꼼히 읽어가며 풀고 있다. 공백을 사이에 두고 출력 2개의 값을 공백을 사이에 두고 출력하기 위해서는 print 함수에 2개의 값을 ..
Mathf.Sign(float num): 주어진 값의 부호를 반환한다. 값이 양수면 1, 음수면 -1, 0이면 0을 반환한다.if (dirX > 0) { transform.localScale = new Vector3(1, 1, 1);}else if (dirX 이 코드는 플레이어의 좌우 이동에 따른 캐릭터 sprite를 회전하는 코드이다. Matfh.Sign() 부호 반환 함수를 사용하여 단 한 줄로 변경할 수 있다!if (dirX != 0){ transform.localScale = new Vector3(Mathf.Sign(dirX), 1, 1);} [Unity] Mathf 클래스#Mathf Unity에서는 수학 함수를 제공하는 Mathf 클래스를 제공합니다. Mathf 클래스는 Un..
Cinemachine?시네머신은 카메라 로직을 개발할 필요가 없이 손쉽게 카메라를 조작가능한 유니티 내장 패키지이다.기본적으로 시네머신은 카메라 오브젝트를 생성하지 않으며 virtual camera(가상 카메라)를 생성한다. 시네머신의 기본Cinemachine Brain은 하이어라키에서 가상 카메라 생성 시 자동으로 기본카메라에 부착되는 컴포넌트이다.씬에 존재하는 모든 가상카메라를 관리감독하는 컴포넌트로 가상카메라의 뇌이다. 1. Virtual Camera : 가상 카메라로 자유롭게 배치 가능2. FreeLock Camera : 타겟을 중심으로 원을 생성하여 해당 구간을 찍는다.3. Blend List Camera : 가상 카메라들의 정해진 방식대로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카메라4. State-Driven..